반응형
날씨는 비가 온 후
※고려시대의 사찰이라는 소리를 듣고, 여느 고찰 처럼 중창을 한 것으로 알고 갔으나, 사실상, 그 시대의 사찰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고, 재건한 것도 아닌, 터만 사용한 현대 사찰이었다. 할 수 없이 전통사찰이 아닌 업저버 형태로 소개한다.
【개요】
●파주 심학산(193.5미터) 기슭에 위치한 약천사는 고려시대의 절 터에 1932년 법성사로 중창한 사찰이다. 1965년에 동화사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이후 1995년 약천사로 바뀌었다. 따라서 엄밀히 말해 고찰이라고 할 수 없고, 그 터만 고찰이다.
● 약천사가 있는 심학산은 조선왕조 시절 궁궐에서 도망친 학을 찾은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며, 전국 22개 명당중 하나로서 명당 중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.
● 이후 2004년에 지장보살의 원력을 이루기 위해 연면적 400여 평의 3층 지장보전(地藏寶殿)을 지어 올려 지장보살(地藏菩薩)을 봉안했다.
●그래서 처음 절에 가는 사람들은 지장보전이 대웅전으로 알고 있지만 실은 그 뒤에 맨 위 쪽에 대웅전은 매우 작아서 삼성각 정도일 것으로 알고 가지만, 대웅전 편액을 보고 다들 놀란다.
●대웅전과 지장보전 사이에는 2008년도 지어진 높이 13미터의 거대한 남북통일약사여래대불(南北統一藥師如來大佛)이 압권이며, 지장보전 또한 규모가 큰 편이다.
【특징】
●실질적으로 사찰의 역사는 현대시대 밖에 없어서, 고찰로서의 면모는 찾아보기 어렵다. 다만 고려시대 사찰이 있었던 것이라는 것 말고는.....
●사찰 주변의 둘레길이 좋고, 심학산에 오르면 반대편으로 한강이 드넓게 펼쳐져 가슴이 뻥 뚫린다.
●특히 사찰에는 13미터의 남북통일약사여래대불이 지장보전을 내려다보는 모습이 매우 압권이며, 대웅전은 드라마 ‘나의 해방일지’ 촬영지로 드라마가 히트를 치는 바람에 이후 유난히 찾는 이가 많은 것 같다. 이상한변호사 우영우, 일타스캔들도 촬영했다고 한다.
●도로에서 사찰 쪽으로 난 소도로를 타고 100미터 조금 더 포장된 산 길을 오르다 보면 사찰 입구가 보인다. 초행의 경우 입구를 잘못찾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, 농가쪽으로 많이 들어가 농가입구에 안내판을 세워놓기도 했다.
●일주문은 없으며, 사찰의 건물도 4-5동 밖에 없다.
●주차는 사찰 지장보전 앞쪽에 약 40-50여대를 댈 수 있는 주차장 두 곳이 있고, 지장보전 앞마당 쪽으로도 약 40여 주차면의 주차장으로 활용된다.
●또한 입구에서 좌측으로 화장실 앞에도 40-50여대를 댈 수 있는 주차장이 있음에도 법회가 열릴 때 면 주차장이 다 차고, 진입로 도로는 물론 사찰 뒤쪽으로도 공간이라는 공간엔 다 주차를 한다.
●법회가 열릴때 경전 마당까지 주차장으로 활용하면 전체적으로 150-200대 가량은 최대한 댈 수 있을 만큼 주차공간이 4곳정도로 크다. 그만큼 찾는이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.

▲▼남북통일 대불상으로 가는 계단 양쪽으로 소원성취를 비는 패찰들이 걸려있다


▲지장보전: 규모는 가장커서 대웅전처럼 보이지만 대웅전은 아니다

▲지장 보전 정면: 사찰 초입에 있는 2층구조로 1층은 종무소등이 있다.

▲지장보전 현액: 마침 안에서 법회가 있었다

▲승방(요사채) 같다. 현액은 안보여 이름은 모르겠다

▲▼이 곳 역시 요사채로 보여진다. 건물이 나름 고풍스럽다


▲기와로 쌓은 담장▲담쟁이가 타고 오르고 있다


▲범종각

▲범종

▲대불상 앞에 놓인 돌연못 테두리에는 작은 불교 굿즈들이 잔뜩 올려져있다.

▲남북통일 대불상(정면) ▼ 후면



▲남북통일 약사 여래대불 안내

▲▼대웅전이다. 나의 해방일지 드라마 촬영 장소다. 여길 보려고 오는 사람도 많다.


▲대웅전 삼존불

▲대웅전 탱화. 또다른 불상이 있다.

▲대웅전불화

▲포대화상

▲사찰 전경: 법회가 열리면 경전 안에도 차량으로 가득 찬다.

▲소각장(대부분 망자의 옷가지를 태운다)

▲풍경
반응형
'종교시설 > 사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의사찰18-당진 영탑사 (1) | 2023.09.25 |
---|---|
한국의사찰16- 당진 보덕사 (0) | 2023.09.23 |
한국의 사찰14. 의왕 청계사 (0) | 2023.09.23 |
한국의 사찰 13- 김포 용화사 (3) | 2023.09.20 |
한국의 사찰12-서울 수국사 (1) | 2023.09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