날씨는 매우 덥고 화창했음
【개요】
●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 말사로 비보사찰(裨補寺刹)이며 신라 894년(진성여왕 8년) 도선국사가 창건 했다.
●고려 1215년(고종 2년) 원진국사(圓眞國師)가 중창하였으며, 법민대사 (法敏大師)가 목조불보살상 5위를 조성하고, 대웅보전에 봉안했다.
※중창과 중건의 기록이 길다.
●1388년(우왕 14년) 무학왕사(無學王師)가 중창했으나, 임진왜란 때 불타서 1622년(광해군 4년) 설미(雪眉), 덕인(德仁) 두 스님이 법당과 승당 복원및 도솔암을 창건했다.
※도솔암은 보광사 우측 산길로 900미터 가량 올라가야 한다. 너무 더운 날씨라 포기.
●1634년(인조 12년)에 범종(현 숭정칠년명동종)을 봉안했으며, 1667년(헌종 8년) 지간, 석련 두 스님이 대웅보전, 관음전 등을 재건 중수했다.
●1740년(영조 16년) 숙빈최씨( 숙종의 후궁이자 영조 모친)의 묘인 소령원(昭寧園)이 능침사찰이 되면서 대웅보전과 광응전을 중수하고 만세루를 창건했으며. 1863년(철종14년) 쌍세전, 나한전, 큰 방, 수구암을 건립했다.
※지장보살과 시왕상, 16나한상 등 각 전각의 탱화를 나한전과 쌍세전에 봉안
●1898년(광무2년) 인파(仁坡)스님이 상궁인 천씨 등의 지원을 받아 대웅보전과 만세루를 중수했으며, 순빈 엄씨와 상궁 홍씨의 시주를받아 단청을 그렸다.
●6·25 때 별당 등 일부 전각 소실 이 후 복원불사했으며, 1957년 수각, 1973년 종각을 각각 세웠고 1981년 거대한 호국대불(護國大佛)을 사찰 뒷 동산에 건립했다.
●1994년에 지장전. 관음전하고, 1998년 만세루를 해체 복구 중 중수상량문(1869년.重修上樑文)이 발견됐다.
●2008년 대웅보전 기와를 보수하고 .응진전·산신각 삼존불·나한상, 산신상 개금 및 개채(改彩)했다. 2009년 7월 초격스님(주지)이 관음전 관세음보살상. 관음탱화을 조성봉안하고, 2010년에는 대웅보전내 불보살상 5위. 지장전 지장보살상을 개금(蓋金)했다.
●2011년 화재로 소실 후 2013년 중건됐다.
【문화재】
●주요문화재로는 목조석가여래좌상(목조불보살상과 함께 5위봉안). 대웅보전편액(영조친필이라고 전해짐).숭정칠년명동종(崇禎七年銘銅鐘.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158호).금고(金鼓).대웅보전 외부 판벽화. 목어등이 있으며, 보물이나 국보는 없고, 경기도문화재는 대웅보전 (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3호)과 범종 2개가 있다.
※ 보광사 역시 소실된 이후 근현대를 거치며 중창. 중건. 복원을 하여 실질적으로 가치있는
사료는 드물다.
【특징】
●고령산(621미터. 정상 앵무봉) 등산로 입구이기도 하고 계곡도 있어 주차장 옆 불이문 앞에 몇 개 음식점과 산장 이 영업을 하고 있으며, 주차장 옆 계곡으로는 여름철 피서객이 꽤 있다. 발을 담글 정도이지, 어린아이 외에는 물놀이 할 수준의 계곡은 아니다.
●대웅보전 바로 옆에 숙빈 최씨의 영정과 신위를 모신 어실각이 있다. 그 옆엔 영조가 심었다고 전해지는 향나무가 있다.
●고령산 반대편 쪽 보광사 넘어는 마장호수가 있으나, 차로 돌아가야 해서 2-3키로(15분 내외) 정도 산을 돌아가야 한다.
●일반 도로에서 이정표 대로 진입하여, 낮은 언덕을 굽이굽이 4-5키로 정도 넘어가면 보광사 입구로 빠지는 길이 나온다.
●주차장부터 보광사까지 차도 따라, 계곡 따라 양측으로 나무데크를 조성해 놔서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으며, 신도나 관계자를 위해 사찰 중간 즘에 10대 정도 될 주차공간이 있다.
▲주차장 바로위에 사찰의 지표석이 세워져있다
▲주차장에서 부터 데크가 도로와 계곡 따라 각각 놓여져있다
▲해탈문:일주문
▲사찰 지표석: 사찰이름과 나무아미타불이라고 적혀있다.
▲주차장에서 조금 오르다보면 지표석이 있고 양갈래길이 나온다. 우측은 등산로이다.
▲사찰과 계곡이 어우러진 풍경이 아름답다. 동영상 첨부
▲보광사에는 다른 사찰에 비해 유난히 풍경이 많다.
▲권선각(설법전): 1층과 2층의 용도가 다르다
▲금고: 고려. 조선시대에 군중에서 호령하는데 사용하던 징
▲대웅보전: 단청을 칠하지 않아 건물이 매우 고풍스럽고 마음에 든다.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모신 본당으로 지금의 건물은 1740년(英祖 16년)경 거의 새롭게 중건 되었다. 경기도문화재로 지정.
▲대웅보전 측면에 그려진 불화
▲대웅보전 안내판
▲측면에서 바라본 경내 모습
▲대웅보전 측면과 처마 지붕이 너무 고풍스럽다
▲대웅보전의 탱화
▲대웅보전 탱화와 5존 불상.고려 1215년(고종 2년)원진국사(圓眞國師)가 중건할 당시 법민대사(法敏大師)가 목조불보살상(木造佛菩薩像) 5위를 봉안했다.
▲연꽃과 범종모양의 풍경
▲어실각의 담장
▲사찰에서 계곡쪽으로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전나무가 많다,
▲만세루의 모습: 전체적으로 보광사에서 손꼽히는 건축물 같다. 1740년 최초 지어졌으며, 1898년(광무2년)궁궐의 상궁
등이 시주해 중수했다. 승방 또는 염불당으로 쓰여졌다고 한다.
▲목어: 만세루 경내쪽으로 툇마루에 있다.
▲경내 앞뜰 비석앞에 올려진 석가모니상
▲보광사 동종이다.1634년(인조 12년) 승려 천보(天寶)와 상륜(尙倫), 경립(敬立) 등에 의해 조성되었다.경기도문화재
▲범종각이다
▲주차장과 사찰 사이에 부도전이 있다.부도전 안내판
▲부도와 추모비석 :성파당 도형 대종사의 것이다
▲불이문: 예전의 정문이었다고 한다. 만세루 옆에 있다.
▲사방댐 지표석: 계곡에 홍수방지를 위해 사방댐을 만든걸 기념하기 위한 것같다
▲산신각
▲산신각 측면
▲출입구 바로앞의 약수물
▲사찰 맨 상단에 세워진 석불전(12.5미터): 1981년에 세워진 것이나 안에는 대웅보전에 모셔져있는 보살의 복장(腹藏)에서 출현한 부처님 진신사리11과 뿐만 아니라 5대주에서 가져온 각종 보석과, 법화경, 아미타경 및 국태민안 남북통일의
발원문 등이 함께 석불 복장에 봉안되었다.
▲안심당: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체 같다
▲어실각:영조의 생모 인 숙빈최씨(淑嬪崔氏)의 신위가 모셔져 있는 곳
▲어실각 정원에 영조가 심었다고 하는 향나무
▲영각전: 영가 모시는 당
▲영산회상도 안내판
▲요사채의 측면 정면 모습
▲응진전과 산신각
▲응진전의 전경 모습
▲사찰을 끼고 넘어가는 고령산 등산지도(산을 넘으면 마장호수가 보인다)
▲언덕에서 내려다 본 사찰의 고즈넉한 전경
▲경내에서 어실각 쪽을 찍은 모습
▲사찰 우측면에서 찍은 사찰의 전경
▲어실각 뒤편으로는 전나무 숲이 펼쳐져있다
▲전참봉한공성현자선기념비: 사찰 담장밖 계곡쪽에 세워져있다. 참봉은 조선시대 정 9품 벼슬이다. 한씨 성을 가진 참봉의 자선을 기념하는 비로 보여진다.
▲만세루의 경내에서 본 모습이다. 반대쪽과 사뭇 다르다
▲당우들의 처마와 단청
▲지장시왕도 안내
▲지장전
ㅁ
▲대웅전 옆에 세워진 탑.최근의 것으로 보인다
▲평화의 불 지표석: 부처님 탄생성지인 룸비니의 평화의 불을 채화해 한국으로 모셔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며 불을 밝힌다고 적혀 있다. 예산 향천사등 다른 사찰에서도 본 것 같다.,
▲어실각 향나무: 영조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.
▲석불전 옆에 기록을 적은 비석이 서있다
▲관음전 불상
▲금강문: 사찰 후문 격이다, 이문을 나서면 전나무 숲과 주차장으로 가는 길이 나온다
▲기와에 올려진 불교 굿즈들
'종교시설 > 사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의 사찰7- 시흥 호압사 (1) | 2023.09.17 |
---|---|
한국의 사찰6-서울 진관사 (1) | 2023.09.14 |
한국의 사찰4- 화성 용주사 (1) | 2023.09.08 |
한국의 사찰3. 고양 흥국사 (0) | 2023.09.06 |
한국의 사찰2- 화성 봉림사 (0) | 2023.09.04 |